소화기계
소화기계
소화기계통은 음식의 소화에 필요한 장기들로 이루어진 계통으로서 음식을 저작, 이동시키면서 흡수하고 배설하며 음식의 소화에 필요한 효소를 분비하는 장기들로 이루어져 있다.
구강에서 분비되는 침,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 췌장에서 분비되는 췌장액은 소화효소를 가지고 있어서 음식물의 분해를 촉진하며, 또한 이(치아)는 음식을 저작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두와 식도는 음식을 운반하는 기능을 하며 소장은 소화 및 흡수를, 대장은 흡수된 후 남은 찌꺼기를 배설하기 위한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기능을 정리하면 첫째 미각작용, 둘째 저작작용, 셋째 연하작용, 넷째 발성의 기능, 다섯째 소화 및 배설의 기능이 있다.
소화기계통의 구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강----->인두---->식도---->위---->소장----->대장---->직장---->항문 (침샘) (담낭->간 췌장) |
![]() |
입과 구강
소화기계통의 처음 시작되는 부분으로서, 저작 및 소화를 담당하며 미각기관 또는 발성의 보조기관으로서 작용한다.
앞쪽 경계는 입술이며, 윗벽은 앞쪽의 상악골과 뒤쪽의 구개골로 이루어진 경구개 및 연구개로 이루어지며, 아래벽은 혀를 가진 구강바닥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은 볼부위로서 피부, 얼굴근육과 볼점막으로 이루어져있다. 구강은 뒤로 연하작용에 의해서 음식을 넘겨주는 근육성인 관인 인두와 연결되어 있다. 구강은 치아를 기준으로 볼 때 앞부분의 구강전정과 뒤의 고유구강으로 나뉜다.
입술은 혈액공급이 풍부해서 선홍색을 띠며 위입술과 아래입술로 나뉜다. |
![]() |
||||||||||||||||||||||||||||||||||
2. 볼근
상악골의 두번째 어금니와 마주보고 있는 점막에 약간 돌출된 유두가 발달되어 있어서 이곳으로 귀밑샘의 개구부가 뚫려있다.
4. 고유구강
혀의 아래면과 구강바닥 사이에는 혀주름디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쪽에느 ㄴ혀밑언덕이라는 점막의 돌출부위가 있어 이곳으로 귀밑샘과 턱밑샘의 분비관이 개구하고 있다.
소화관이면서도 미각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성에도 관여한다. 혀의 윗면인 혀등에 형성되는 V자 모양의 분계고랑을 경계로 하여 앞부분을 혀몸통, 뒷부분을 혀뿌리라 한다.
혀몸통의 앞끝을 혀끝, 혀몸통의 윗면을 혀등이라고 하며, 혀등에는 수 많은 혀유두가 분포되어 있다. 중요한 혀유두에는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종류가 있다.
이는 인체의 기관중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으로서 바깥부분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치아관, 이틀속에 들어 있는 부분을 치아뿌리, 치아관과 치아뿌리의 경계부위를 치아목이라 한다. 치아관의 바깥면은 인체에서 가장 경도가 높은 에나멜질로 둘러싸여 있으며 치아뿌리는 시멘트질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나 치아관과 치아뿌리의 주요부분인 중간층은 상아질로 되어 있다. 또한 가장 안층에는 신경과 혈관이 발달되어 있는 치아수강이 우치하고 있다. 이는 유아기때 생기는 탈락치아와 소아기때 탈락치아가 빠진후 다시 이가 생겨나 일생동안 남아있는 영구치아 등 2종류가 있으며 치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7. 침샘 이러한 작은 침새들은 입술, 구개, 볼 및 혀등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같은 침샘 이외에도 큰침샘들이 구강주위에 위치하고 있어 침을 구강내로 분비하고 있다. 큰 침샘의 종류에는 귀밑샘, 턱밑샘 및 혀밑샘이 있다.
분비관은 교근의 오측을 가로로 주행하여 상악골의 둘째큰어금니의 반대쪽의 볼점막에 있는 귀밑샘유두에 개구한다. 귀밑샘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에 대표적인 예가 이하선염 혹은 볼거리이다.
|
인두
인두는 길이가 약 12cm의 근육성인 관으로서 두개골 바닥에서부터 윤상연골의 높이인 제6경추골의 높이까지 걸쳐있다.
인두의 벽을 구성하는 근육들로서는 인두의 상방에 종으로 위치하고 있는 올림근(경상인두근)이 발달되어 있고, 윤상으로는 3개의 수축근인 아래, 중간 및 위인두수축근이 발달되어 있다.
인두는 위치하고있는 부위에 따라 코인두, 입인두 및 후두인두로 구분하며, 호흡기계통과 소화기계통을 함께 공유하고 있는 기관이다.
소화기계통에서는 구강과 식도를 연결시키는 음식전달경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호흡기계통에서 기술하고자 한다. |
![]() |
식도
흉강내에 위치하며 위로 인두와 아래로는 위와 연결되는 길이 약 25cm 정도의 근육층으로 된 관으로 음식을 위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직경은 2cm미만이며, 음식이 지나가지 않을 때에는 앞뒤로 납작한 모양을 유지하고 있다.
식도는 그 경과중에 3곳에 좁아져 있는 부위가 있는데 이는 식도가 시작하는 부위, 기관갈림부위와 만나는 부위, 횡격막을 관통하는 부위에서 좁아져 있어, 이 3부분을 생리적 협착부위라고 한다. 식도의 전반적인 주행은 척주의 만곡에 따라 아래로 수직으로 주행하나 흉추골부위의 중앙아래에서는 식도와 척주사이에 대동맥이 위치하고 있다.
식도의 위 1/3으 인두근에 이어진 골격근이며, 아래 1/3은 내장근인 평활근으로만 이루어져 있고, 중간부위는 골격근과 평활근이 섞여있는 부위이다.
|
|
복막
복막은 복강내에서 복벽의 내면과 내장을 싸고 있는 장막으로서, 복벽의 속부분을 덮는 벽쪽복막과, 복강의 속부분에 있는 내장을 덮는 내장쪽복막으로 이루어진다.
이 두막의 이행부위는 복막이 이중으로 겹쳐지며, 그 속부분에 기관, 혈관, 림프관 및 신경 등이 지나가고 있어, 이 두개의 막을 장간막이라고 한다.
벽쪽 복막과 내장쪽 복막에 의해 만들어지는 복잡한 빈 공간을 복막강이라 하며, 복막강안에는 소량의 복막액이 들어 있다.
발생초에 소화기관은 복강의 중앙을 세로로 길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앞벽과 뒤벽의 정중선상에장간막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소화기관의 연장에 의한 굴곡, 위치의 이동과 부속샘의발달 등에 따라 그 일부분은 뒤복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복막강은 복잡한 상태를 나타내며, 처으에는 장간막을 가지고 있던 기관도 발생후에는 복막에 의해 덮여진 상태로만 위치하기 때문에 복마구장기가 되는 것도 있다. 발생초기에 복강내의 장기들은 복막에 싸여 일정한 부위를 차지하고 있다. |
![]() |
|
그러나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내장을 싸고 있던 복막들은 내장의 위치변화에 따라서 위치와 모양이 변화되어 결국 아래와같은 특수한 구조물들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장과 회장을 싸고있는 유동성 있는 복막을 장간막이라고 한다. 도한 장간막이 시작되는 곳을 장간막뿌리라고 하며, 이것은 둘째요추골의 왼쪽에서 오른쪽아래로 약 20cm정도 주행하여 오른 장골오목에 도달한다.
공장과 회장은 6~7m 길이를 가졌기 때문에 20cm 밖에 안되는 장간막뿌리에서 시작되는 장간막에 의해서 전체가 다 싸여질 수 없다. 따라서 공장과 회장은 복강속에서 현저하게 굴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소장을 싸고있는 복막에도 많은 주름이 만들어지면서 마치 여성의 주름치마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져 장간막이 형성된다.
그러나 충수, 가로결장 및 에스자결장은 내장쪽복막에 의해 감싸여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복막을 결장간막이라고 하며, 이 결장간막에 의해 어느 정도 장기의유동성이 있게 된다.
이 2겹의 복막은 간문과 위의 작은만곡, 그리고 십이지장의 위부분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때문에 이것을 소망이라고 부른다. 소망의 오른쪽모서리를 따라 총담관, 고유간동맥 및 문맥이 주행한다.
이에 따라 간의 뒤부분, 소망, 위 및 비장과 뒤복벽의 벽쪽복막에 사이에는 복막으로 싸인 주머니가 만들어진다. 이것을 망낭이라고 하며, 소망의 오른쪽모서리와 뒤에 있는 벽쪽복막에 의해 망낭으로 들어가는 입구, 즉 망낭구멍이 형성된다.
그후 2겹의 복막이 가로결장을 향하여 다시 올라가게 되므로, 결국 4겹의 복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4겹의 복막을 대망이라 하며, 앞복벽을 절개했을때 소장의 앞부분에 앞치마처럼 늘어져 있는 대방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사람에서의 대망은 위의 큰만곡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인데, 충수염과 같은 염증이 일어났을때 대망이 유착됨으로써, 염증이 복강속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
췌장 췌장은 외분비기관과 내분비기관을 함께 가지고 있는 소화샘으로 위의 뒤에서 십이지장의 왼쪽에 위치하며, 췌장머리, 췌장몸통 및 췌장꼬리으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췌장은 복막후장기로서 제2유추골앞을 왼쪽으로 가로로 놓여있으며, 길이는 약 15cm, 폭은 3cm, 두께2cm, 무게는 약 70gm 정도이다.
췌장머리는 십이지장의 C자모양의 오목한 부위에 박혀있는 넓은 부분이며, 췌장꼬리는 좁고 가늘며 비장문에 접해있다. 췌장의 외분비샘으로부터는 3가지 종류의 소화효소가 십이지장으로 분비된다.
즉 지방을 분해하는 리파제,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아밀라제, 단백질을 분해하는 트립신 등이다. |
![]() |
|
췌장의 소화효소에 분비관인 췌장관은 췌장머리를 향해 췌장의 중앙을 오른쪽으로 가로로 주행한후, 간에서 나온 총담관과 합류하여 십이지장의 큰십이지장유두로 개구한다. |
1. 골격계통 | |||||||||||||||||||||||||||||||||
| |||||||||||||||||||||||||||||||||
① |
골격의 구분 ( 총 206 개로확정함) | ||||||||||||||||||||||||||||||||
|
| ||||||||||||||||||||||||||||||||
|
● 체간골격 ( axialskeleton ) | ||||||||||||||||||||||||||||||||
| |||||||||||||||||||||||||||||||||
| |||||||||||||||||||||||||||||||||
|
|
| |||||||||||||||||||||||||||||||
|
● 체지골격 또는 부대골격 ( appendicular skeleton ) | ||||||||||||||||||||||||||||||||
|
상지골 ( 上枝骨: upper limbs ) |
64 | |||||||||||||||||||||||||||||||
|
하지골 ( 下枝骨: lower limbs ) |
62 | |||||||||||||||||||||||||||||||
|
| ||||||||||||||||||||||||||||||||
|
● 기타 이소골 또는 청소골 6 | ||||||||||||||||||||||||||||||||
|
| ||||||||||||||||||||||||||||||||
|
● 부위별 구분 | ||||||||||||||||||||||||||||||||
|
| ||||||||||||||||||||||||||||||||
|
두개골 : 뇌두개 8개 + 안면골 15개 = 23개 | ||||||||||||||||||||||||||||||||
|
뇌두개 - 후두골1 , 접형골 1, 측두골2 , 두정골2 , 전두골1 , 사골 | ||||||||||||||||||||||||||||||||
|
안면골 - 하비갑개2 , 누골2 , 비골2 , 서골1 , 관골2 , 구개골2 , | ||||||||||||||||||||||||||||||||
상악골2 , 하악골1 , 설골1 | |||||||||||||||||||||||||||||||||
|
체 간 : 척추32개~34개 + 흉곽25개 = 57개 | ||||||||||||||||||||||||||||||||
|
척추 - 경추7 , 흉추12 , 요추5 / 선추5 , 미추3~5 | ||||||||||||||||||||||||||||||||
|
흉곽 - 흉추12 , 늑골 12쌍 , 흉골1 | ||||||||||||||||||||||||||||||||
|
사 지 : 상지64개 + 하지62개 = 126개 | ||||||||||||||||||||||||||||||||
|
상지 - 상지대골 - 쇄골2 , 견갑골2 | ||||||||||||||||||||||||||||||||
자유상지골 - 상완2, 전완(요골2, 척골2) , | |||||||||||||||||||||||||||||||||
수골(수근골16 , 중수골10 , 지골28) | |||||||||||||||||||||||||||||||||
하 지 : 하지대 - 관골2 , 대퇴골(대퇴골2 , 슬개골2) , 하퇴골(경골2 , 비골2) | |||||||||||||||||||||||||||||||||
자유하지대 - 족골(족근골14 , 중족골10 , 족지골28 ) | |||||||||||||||||||||||||||||||||
| |||||||||||||||||||||||||||||||||
| |||||||||||||||||||||||||||||||||
② |
골격의 작용 | ||||||||||||||||||||||||||||||||
|
1. 인체를 지지한다. | ||||||||||||||||||||||||||||||||
|
2. 내부 장기(뇌 복부의 장기 )를 보호한다. | ||||||||||||||||||||||||||||||||
|
3. 혈액생산(조혈기구) 및 무기물을 저장한다. | ||||||||||||||||||||||||||||||||
|
4. 성장판이 있어 신체의 크기를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 ||||||||||||||||||||||||||||||||
| |||||||||||||||||||||||||||||||||
③⑤⑥⑦ |
골격( skeleton )의 구성 | ||||||||||||||||||||||||||||||||
|
| ||||||||||||||||||||||||||||||||
|
뼈 (bones)와 연골(cartilages)의 두 가지로 구성 | ||||||||||||||||||||||||||||||||
|
뼈와 뼈의 연결: 연골 사이는 인대(ligaments)라고 하는 결합조직의 띠가 보강 | ||||||||||||||||||||||||||||||||
|
관절 ( joints )를 형성한다. | ||||||||||||||||||||||||||||||||
|
| ||||||||||||||||||||||||||||||||
④ |
뼈의 구조 | ||||||||||||||||||||||||||||||||
|
| ||||||||||||||||||||||||||||||||
| |||||||||||||||||||||||||||||||||
| |||||||||||||||||||||||||||||||||
|
기본조직 ( primary tissues)중 결합조직 (connective tissues)에 속함. | ||||||||||||||||||||||||||||||||
|
그러나 결합조직의 형태에서 많은 변형을 이루어 특수결합조직으로 발달. | ||||||||||||||||||||||||||||||||
|
매우 단단하나 혈관과 신경분포가 있어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하다. | ||||||||||||||||||||||||||||||||
|
| ||||||||||||||||||||||||||||||||
| |||||||||||||||||||||||||||||||||
|
| ||||||||||||||||||||||||||||||||
인체의 골격구조 | |||||||||||||||||||||||||||||||||
|
| ||||||||||||||||||||||||||||||||
|
| ||||||||||||||||||||||||||||||||
|
| ||||||||||||||||||||||||||||||||
|
| ||||||||||||||||||||||||||||||||
|
| ||||||||||||||||||||||||||||||||
|
| ||||||||||||||||||||||||||||||||
관절(뼈와 뼈의 사이) 의 연결상태
| |||||||||||||||||||||||||||||||||
| |||||||||||||||||||||||||||||||||
|
1. 구상관절 ((spheroid j.) : 관절두가 볼록하고 관절와가 오목하여 여러 방향 | ||||||||||||||||||||||||||||||||
으로 자유롭게 운동하는 관절. ( 견관절, 고관절 ) | |||||||||||||||||||||||||||||||||
|
2. 차축관절 (trochoid j.) : 원판상의 관절두와 이에 적합한 관절와가 바퀴처럼 | ||||||||||||||||||||||||||||||||
감싸면서 도는 관절. ( 경추관절, 요척관절 ) | |||||||||||||||||||||||||||||||||
|
3. 안상관절 (saddle j.) : 관절두와 관절와가 모두 말 안장처럼 좌우로 퍼져있 | ||||||||||||||||||||||||||||||||
는 관절로. ( 엄지손가락의 제일수근중수관절) | |||||||||||||||||||||||||||||||||
|
4. 타원관절 (ellipsoid j.) : 관절두가 타원형이고 관절와는 얕은 오목모양인 | ||||||||||||||||||||||||||||||||
관절 ( 요골수근관절 ) | |||||||||||||||||||||||||||||||||
|
5. 경첩관절 (hinge j.) : 홈이 파인 관절두와 이에 맞는 모가 있는 관절와로 | ||||||||||||||||||||||||||||||||
이루어져 마치 경첩과 같이 운동방향이 수평축을 따라 한쪽 방향으 | |||||||||||||||||||||||||||||||||
로 되는 관절. ( 슬관절, 주관절 )
| |||||||||||||||||||||||||||||||||
|
6. 평면관절 (plane j.) : 모양과 크기가 거의 같은 두 관절면이 평면으로 되어 | ||||||||||||||||||||||||||||||||
그 사이에 활주만이 있는 관절. ( 수근간관절, 족근간관절 ). | |||||||||||||||||||||||||||||||||
|
| ||||||||||||||||||||||||||||||||
|
| ||||||||||||||||||||||||||||||||
|
| ||||||||||||||||||||||||||||||||
|
| ||||||||||||||||||||||||||||||||
2. 근육 계통 | |||||||||||||||||||||||||||||||||
|
| ||||||||||||||||||||||||||||||||
|
1. 근육의 기본작용 | ||||||||||||||||||||||||||||||||
|
| ||||||||||||||||||||||||||||||||
|
수축 및 이완작용: 화학적 또는 전기적 자극을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운동한다 | ||||||||||||||||||||||||||||||||
|
골격근의 굴곡 또는 이완, 소화물의 흡수, 대소변 배설, 안구 조절작용 | ||||||||||||||||||||||||||||||||
|
발한작용(땀 배출), 호르몬의 분비..... | ||||||||||||||||||||||||||||||||
|
| ||||||||||||||||||||||||||||||||
|
2. 근육의 분류 | ||||||||||||||||||||||||||||||||
|
| ||||||||||||||||||||||||||||||||
|
① 수의근 : 본인의 의지에 따라서 움직이는 근육으로 골격근을 말한다 | ||||||||||||||||||||||||||||||||
|
② 불수의근 : 의지와는 관계가 없이 독립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하는 근육 | ||||||||||||||||||||||||||||||||
|
위, 장, 혈관, 자궁의 운동 | ||||||||||||||||||||||||||||||||
|
| ||||||||||||||||||||||||||||||||
|
| ||||||||||||||||||||||||||||||||
|
| ||||||||||||||||||||||||||||||||
|
| ||||||||||||||||||||||||||||||||
|
| ||||||||||||||||||||||||||||||||
인체전면의 근육 | |||||||||||||||||||||||||||||||||
| |||||||||||||||||||||||||||||||||
|
| ||||||||||||||||||||||||||||||||
|
| ||||||||||||||||||||||||||||||||
|
| ||||||||||||||||||||||||||||||||
|
| ||||||||||||||||||||||||||||||||
인체후면의 근육 | |||||||||||||||||||||||||||||||||
| |||||||||||||||||||||||||||||||||
| |||||||||||||||||||||||||||||||||
|
| ||||||||||||||||||||||||||||||||
|
| ||||||||||||||||||||||||||||||||
|
피부 조직 모식도 | ||||||||||||||||||||||||||||||||
|
| ||||||||||||||||||||||||||||||||
|
| ||||||||||||||||||||||||||||||||
|
| ||||||||||||||||||||||||||||||||
|
| ||||||||||||||||||||||||||||||||
|
| ||||||||||||||||||||||||||||||||
|
| ||||||||||||||||||||||||||||||||
|
| ||||||||||||||||||||||||||||||||
두개골의 골격 명칭 및 봉합의 종류 | |||||||||||||||||||||||||||||||||
| |||||||||||||||||||||||||||||||||
| |||||||||||||||||||||||||||||||||
|
| ||||||||||||||||||||||||||||||||
|
| ||||||||||||||||||||||||||||||||
|
| ||||||||||||||||||||||||||||||||
|
| ||||||||||||||||||||||||||||||||
|
| ||||||||||||||||||||||||||||||||
뇌의 단면도 | |||||||||||||||||||||||||||||||||
| |||||||||||||||||||||||||||||||||
| |||||||||||||||||||||||||||||||||
| |||||||||||||||||||||||||||||||||
|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상반된길항작용
| ||||||||||||||||||||||||||||||||
|
| ||||||||||||||||||||||||||||||||
|
| ||||||||||||||||||||||||||||||||
| |||||||||||||||||||||||||||||||||
자율신경과 내장과의 관계 | |||||||||||||||||||||||||||||||||
| |||||||||||||||||||||||||||||||||
|
| ||||||||||||||||||||||||||||||||
|
| ||||||||||||||||||||||||||||||||
| |||||||||||||||||||||||||||||||||
척수반사신경 회로도 1 | |||||||||||||||||||||||||||||||||
| |||||||||||||||||||||||||||||||||
| |||||||||||||||||||||||||||||||||
| |||||||||||||||||||||||||||||||||
| |||||||||||||||||||||||||||||||||
척수반사신경 회로도 2 | |||||||||||||||||||||||||||||||||
| |||||||||||||||||||||||||||||||||
| |||||||||||||||||||||||||||||||||
| |||||||||||||||||||||||||||||||||
|
| ||||||||||||||||||||||||||||||||
|
| ||||||||||||||||||||||||||||||||
|
| ||||||||||||||||||||||||||||||||
|
| ||||||||||||||||||||||||||||||||
뇌하수체 전옆에서 나오는 호르몬의 종류 | |||||||||||||||||||||||||||||||||
| |||||||||||||||||||||||||||||||||
| |||||||||||||||||||||||||||||||||
|
| ||||||||||||||||||||||||||||||||
|
| ||||||||||||||||||||||||||||||||
전신의 호르몬 분비장소 |